본문 바로가기

<연세두리> 과월호 다시보기/2호 - 2015년 4월

[두리's 넋두리] 4월을 맞이하면서

[두리‘s 넋두리] 4월을 맞이하면서

 

 

  2014년 4월 16일, 중간고사 시험공부를 하다가 잠깐 보게 된 뉴스에서 세월호 사고가 발생했음을 알았다. 처음엔 전원 구조라고 했지만, 아니었다. 300명이 넘는 인원이 반쯤 기울어진 배에 갇혀있다는 것이다. 공부를 할 수 없었고, 틈만 나면 뉴스를 확인했다. 실시간으로 배가 점점 더 기울어지는 것을 지켜봤던 한국 사회는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는 사실로 인해 우울감에 빠졌다.

 

  침몰해가는 배 안에서 구조를 기다렸을 학생들은 결국 우리에게 돌아오지 못하였다. 이후 세월호 사건을 두고 수많은 담론이 오갔다. 해경의 초기 대응 부족과 국가의 재난 정책이 비판받았고, 안전불감증에 대한 반성이 이어졌다. 어떤 이들은 신자유주의는 한계가 적나라하게 드러난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담론들 속에서 우리 사회는 세월호 사고가 단순한 자연재해 혹은 교통사고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는 것에 합의를 보았다. 그래서 정부 및 국회에서는 적극적으로 책임을 묻고자 했고, 세월호 특별법을 제정하려 했다. 하지만 유병언 수사는 허무하게 끝나버렸고, 세월호 특별법의 골자인 진상 조사위원회의 구성과 특별검사 구성에 있어서 유가족 측과 여야는 합의를 보지 못했다. 시민들은 이를 지켜보았다. 어떤 이들은 거리로 나서자 했지만, 다른 이들은 부정적으로 세월호 사건의 정치화를 바라보았다. 일부 극우 집단은 유가족 측을 조롱하는 퍼포먼스를 했다. 이렇게 세월호 사건은 우리 사회에 찝찝함과 불신을 남겨주었고, 기나긴 정치적 싸움에 국민들은 지치고 무력감을 느꼈다. 

 

  일련의 세월호 사건은 세월호가 침몰한 사고에서 시작했고, 실제로는 아직 밝히지 못한 ‘진상’에서 시작했다. 세월호 사건이 우리 사회에 큰 충격을 준만큼, 책임의 소지를 묻는 것이 가장 큰 화두로 떠올랐었다. 그 중심엔 국가가 있었다. 한국 사회의 분단 현실, 그리고 독재의 잔재로 인해 국가 담론은 구성원들을 분열시키곤 하며, 이는 이분법적인 양상을 띤다. 세월호 사건의 책임을 묻는 과정에서 국가가 등장하자 이는 극단적인 의견 대립을 낳았다. 세월호 사건 이후 트라우마를 경험한 우리 사회는 통합되지 못하고 분열 되었다. 이러한 분열은 상대방에 대한 불신과 혐오를 불러일으켰고, 이는 세월호 사건을 부정적으로 정치화했다.

 

  그 결과 세월호 사건에 대한 의견을 피력하는 것이 자신의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는 행위가 되었고, 광화문에서 희생자를 애도하는 행위는 경찰의 제지를 받는 정치적 시위가 되어있었다. 어떤 이들은 세월호 사건을 정치적 잣대로 보지 말자고 주장하기도 한다.

 

  어떤 이가 말했다. 대학생은 마땅히 진보적이어야 한다고. ‘진보적’이라는 것은 ‘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추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대학생은 왜 진보적이어야 하는가? 그 질문에 나는 대학은 앞으로의 사회를 이끌어갈 주체이기 때문이라고 답할 것이다. 우리 사회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기를 지향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존 사회의 불합리한 점을 지적하고 비판하고, 더 나아가 시정해나갈 수 있어야 되며, 이는 앞으로의 사회의 주체인 대학생에게 필요할 것이다. 세월호 사건은 그동안 축적되어 온 우리 사회의 부정적인 관습과 구조적 모순을 적나라하게 보여줬다고 평가 된다. 그러나 우리는 세월호 사건을 슬퍼하더라도, 토론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 고민하고 토론하는 것이 나의 영역이 아니라고 생각해서 일 것이다. 그렇지만 앞으로 우리가 마주할 사회이기 때문에 알아야하고 고민해봐야 한다. 구체적으로 세월호 사건을 통해 해결해야 할 지점에 대해 고민하고, 더 나아가 대안을 제시하는 시도도 해볼 수 있다.

 

  국가 안전의 날로 지정된 4월 16일, 연세대학교에서는 중간고사가 시작된다. 지난 1년 전 가슴을 졸이며 책에 집중을 못하던 그 때를 기억하며, 하늘나라에 그리고 차가운 바다 속에 있을 희생자들을 생각하며, 4월을 맞이했으면 좋겠다.

 

김여울 편집위원

yewoolmok@yonsei.ac.kr